폭염에는 높은 산이 좋다
□ 산행개요
○ 산 행 지 : 덕태산 /전북 진안
○ 산행일자 : 2017년 06월 17일(토) / 맑은 날씨
○ 산 행 자 : 부산토요산악회(부토산)와 함께
○ 산행코스 : 백운동정류장~점전폭포~덕태산~시루봉~삿갓봉~갓걸이봉~사당골~백운동계곡~출발지
○ 산행기점 : 백운동버스정류장(전북 진안군 백운면 백암리)
○ 산행시간 : 6시간 50분(GPS 14.6km)
□ 산행일지
07:00 부산 서면전철역 12번 출구에서 탑승 출발(산악회 버스)
10:27 통나무산장 앞에서 하차
백운동버스정류장에서 조금 올라간 지점이다. 더 이상은 버스를 돌릴 때가 없으니 여기 까지다.
10:36 산행시작
점전폭포까지 1.6km 포장길을 걸어야 한다. 그래도 길가에 숲나무가 늘어서서 지겹지는 않다.
10:42 공영주차장(승용차용)과 공중화장실
10:47 덕대사 갈림길
이정표(↗덕태산 정상 2.00km /점전폭포 0.85km, ↓상백암 1.33km), 입간판(↖덕대사)
11:02~05 점전폭포
가뭄으로 작은 물만 옆으로 흘러내린다. 수영금지 간판 뒤 산길로 굽은 포장길을 질러 올랐다.
11:06 덕태산 들머리
이정표(↑덕태산 정상 1.65km, ↗선각산 정상 2.80km /덕태산 정상<임도> 6.04km)
계곡을 따라 오르는 포장길을 두고 숲길로 올랐다. 제법 가파르지만 우거진 숲 그늘길이다.
11:26 능선길(간이의자)
거대한 암봉을 우측 비탈로 우회하여 올라선 능선길이다. 좌측 암봉을 다녀오기로 한다.
11:27~31 전망암봉(×787.8)
덕태산 정상과 정상으로 올라서는 능선이 보이고 돌아서면 선각산과 투구봉이 조망된다.
12:07~08 전망바위
12:11~51 덕태산(△1,118.0) /정상석(덕태산 해발 1,113m)
이정표(↖덕대사 1.01km /노루목재 2.09km /시루봉 2.10km, ↓점전폭포 2.14km)
미세먼지로 먼 산은 보이지 않는다. 주변 작은 터에서 함께 점심을 먹고 덕태산을 내려섰다.
12:58 헬기장
이정표(↖신전마을 4.25km, ↗시루봉 1.30km), 정상석(덕태산 1,101.8m)
13:03 갈림길
이정표(↑상백암 6.48km, →점전폭포 4.77km, ↓덕태산 정상 1.47km)
13:10 1,128.9m봉(×1,128.9)
이정표(↑시루봉 0.9km, ↓임도 0.25km)
완만하게 내려서서 봉우리를 하나 더 넘어서 시루봉에 다가선다. 산죽과 풀숲이 우거졌다.
13:34~36 시루봉(×1,145.9)
짧은 쇠사슬을 잡고 올라선 바위봉이다. 바위절벽 옆 조망안내판이 시루봉임을 알려준다.
13:38 정맥갈림길
이정표(↑시루봉 0.34km, ↓덕태산 정상 1.65km)
마주 오는 금남호남정맥이 이곳에서 좌측으로 갈라진다. 갈림길은 간이의자 왼쪽에 보인다.
13:42 이정표(↑선각산 정상 5.01km, ↓덕태산 정상 1.91km)
13:48~53 홍두깨재
이정표(↑오계치 3.50km, ↓마이산 14.2km/성수산 4.4km //홍두깨재)
1/25,000지도상 홍두깨재인데, 부산일보와 다른 산행지도는 다음 안부를 홍두깨재라 한다.
그럼에도 이정표와 부산일보 지도만을 보고 임도와 가까운 홍두깨재로 오인했다. 우측에는
뚜렷하지는 않으나 길은 있다. 해서 중간 탈출조에게 우측으로 하산하라 했는데...
14:01~07 실제 홍두깨재
이정표(↑삿갓봉 2.18km, →임도 0.40km //홍두깨재)
우측에 뚜렷한 하산길이 있는 홍두깨재다. 이곳도 이정표 기둥에 홍두깨재라 표시하고 있다.
무전으로 연락해서 직전의 홍두깨재에서 내려서고 있는 이들을 이곳에서 하산하도록 알렸다.
14:11 959.5m봉(×959.5) /간이의자 2개
14:20~26 오르막 능선길
산행대장이 무전기를 잃어버렸다 해서 잠시 지체했다. 무전기는 뒤에 오는 회원이 주워왔고...
14:35~41 능선 중턱
가파른 능선길을 치고 올라선 중턱이다. 이제부터는 완만한 길, 잠시 쉬었다가 길을 이었다.
14:50~15:01 전망암봉(×1,098.8)
이정표(↑삿갓봉 0.35km /선각산 정상 2.45km, ↓덕태산 정상 4.57km)
가야할 삿갓봉, 선각산과 투구봉, 지나온 덕태산과 시루봉 능선이 한눈에 조망되는 암봉이다.
선두를 보내놓고 뒤에 오는 회원들을 기다렸다가 출발했는데...
15:18~36 삿갓봉(×1,131.3)
이정표(↗오계치 0.82km, ↖와룡자연휴양림 2.21km, ↓신광재 5.30km)
한 번 처진 회원들은 계속 늦는다. 아무래도 무리, 천천히 걷다가 중간에서 내려서기로 했다.
15:40~41 정맥 갈림길
이정표(→선각산 정상 1.44km, ←오계치 0.61km, ↓삿갓봉 0.35km)
15:52~56 갓걸이봉(×1,023.5)
이정표(↖선각산 정상 0.78km, ↓오계치 1.50km)
이곳에서 계곡으로 하산하기로 했다. 이정표에는 없으나 우측으로 내려가는 길이 뚜렷하다.
16:01~30 사당골 계곡길 시작
16:04 이정표(↑점전폭포 2.28km, ↓선각산 정상 1.22km)
16:07 이정표(↑점전폭포 2.15km, ↓선각산 정상 1.35km)
16:09 이정표(↑점전폭포 1.57km, ↓선각산 정상 1.93km)
16:28 백운동계곡(물길 건너 포장길)
이정표(←점전폭포 0.88km, ↓선각산 정상 2.62km)
16:34 포장길 삼거리
이정표(↑점전폭포 0.40km, ↓덕태산 정상 2.00km)
16:35~17:03 계곡 물길 /계곡욕
17:07 점전폭포
17:26 대형차량 주차장 /산행종료
17:37 산악회버스 이동
17:59~18:56 진안읍 소재 음식점에서 저녁식사
21:29 부산 덕천동에서 하차, 귀가
□ 산행후기
가뭄이 계속되는 가운데 전국적으로 폭엽주의보가 내렸다.
이런 날씨에 무슨 산이냐 하는 이가 있다면 산을 몰라서 하는 소치다.
날이 무더울수록 산행은 낮은 산보다 높은 산이 좋다.
에베레스트가 항상 눈에 덮여있음은 누구나 아는 사실인저,
기온감률에 의하면 1,000m 고지는 평지보다 그 기온이 6도 가량 낮다.
게다가 바람이라도 불어주면 체감온도는 더욱 내려간다.
여름산행의 백미는 하산길에서 하는 알탕(계곡욕)에 있음이라,
덕태산 가는 차 안에서 계곡이 마르지 않았을까 하길래,
산이 높으면 골도 깊은 법, 물이 없을 수가 있겠느냐고 호언장담을 했다.
과연 깊은 계곡이라 철철하지는 않아도 흐르는 물은 있고,
가파른 오르막에도 우거진 숲 그늘이 있어서 그렇게 덥지 않다.
덕태산에 올라서자 선선한 미풍이 흐르는데 폭염은 산 아래 세상일이다.
그렇다 해도 오늘 코스는 여름산행으로서는 다소 벅차다.
덕태산, 시루봉, 삿갓봉, 선각산은 모두가 1,100m가 넘어서는 고봉이고,
그 외에 1,128.9봉, 1,098.8봉 등 1,000m가 넘은 봉우리도 여러 개다.
힘겹게 오른 덕태산에서 봉우리 두 개를 더 넘어 수리봉에 올라섰으니,
무더움은 없다 해도 여름철의 빤한 기력은 바로 바닥을 드러낸다.
홍두깨재에 내려서서 절반은 하산하고 나머지만 고산준령을 이어갔다.
다시 오르막을 치고 1,098.8봉에 올라서자 가야할 산봉들이 압도한다.
바로 앞에 삿갓봉이 우뚝하고 저 멀리 선각산이 높직하니 솟아있다.
마지막으로 올라야 하는 투구봉도 작지만 아주 가파른 모습이다.
결국 삿갓봉만 넘은 후 선각산을 앞에 두고 모두들 내려서고 말았다.
그랬음에도 아쉬워하는 이가 아무도 없었으니,
웬만큼 걸은 데다 계곡물에 몸을 담글 수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산행개요도
▽명산지도에 매칭한 트랙
▽부산일보 지도에 매칭한 트랙
▽산행고도표
▽구글로 본 산행경로
▽백운동에 들어서서 2차선도로 끝에서 버스를 정차했다.
▽1차선 포장길은 버스는 출입금지...
▽마을 안쪽 팬션지대를 지나고...
▽점전폭포까지의 길은 제법 길다. GPS로 1.65km가 나왔다.
▽점전폭포는 바닥 물만...
▽숲길을 가로질러...
▽들머리에 올라섰다. 덕태산 정상까지 이정표는 1.65km라 했지만...
▽GPS에는 1.80km였으니, 이정표는 도상거리인 듯...
▽올라서는 길은 계속 가파르다.
▽들머리에서 20분, 전망좋은 암봉에 올라섰다.
▽덕태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능선...
▽반대쪽으로 선각산과 투구봉이 보인다.
▽다시 오름길을 이어서...
▽전망바위에 오르면...
▽덕태산 정상은 3분 거리다.
▽다음 목적지는 시루봉...
▽덕태산을 내려서면...
▽드넓은 헬기장...
▽우측 능선길로 내려서는데 산죽이 무성하다.
▽앞에 보이는 봉우리는 1,128.9m봉...
▽올라서니 이정표와 간이의자가 있다.
▽앞에 또 하나의 봉우리가 있다.
▽지도에는 높이표시도 없는 무명봉...
▽올라서자 비로소 시루봉이 보인다.
▽산죽이 우거진 안부로 내려서서...
▽바윗길을 올라섰다.
▽조망안내판이 있으나...
9
▽오늘도 미세먼지가 많은 날씨...
▽시루봉을 내려서면...
▽금남호남정맥 갈림길이 있다. 마주오는 정맥길이 간이의자 좌측으로 갈라진다.
▽이제부터 걷는 길은 정맥길...
▽내려선 안부에 이정표가 서 있다.
▽홍두깨재? 산행지도와 국립지리원 지도가 달라 헷갈린 곳이다.
▽작은 언덕봉을 하나 넘어서...
▽제법 길게 내려선 이곳...
▽이곳에도 홍두깨재라는 이정표가 있었기 때문이다.
▽일부는 두 번째 홍두깨재에서 하산하고, 나머지는 정맥길을 이었다.
▽완만하게 오르내리던 정맥길은...
▽다시 고도를 높여가는데...
▽누적된 걸음이라 더욱 힙겹다.
▽된비알을 올라서니 덕태산에서 4.57km 지점...
▽이정표 위에 암봉이 있다.
▽오늘 코스가 한눈에 들어오는 암봉이다. 덕태산에서부터 지나온 능선...
▽이건 가야할 능선이다. 좌측 삿갓봉, 우중앙 선각산, 우측 끝이 투구봉이다.
▽암봉을 내려서면 다시 오르막...
▽나지막한 삿갓봉에 올라서는 것도 엄청 힘든다.
▽뒤처진 이들을 기다렸다가...
▽갓걸이봉에서 내려서기로 했다.
▽갈림길이 있다. 좌측은 오계치로 이어지는 정맥길, 우측길로 진행했다.
▽선각산을 향해 절반쯤 이어가자...
▽이정표가 서 있다. 갓걸이봉 부근인데 이곳에서 우측길로 하산했다.
▽급한 지능선을 타고...
▽계곡에 내려섰다. 산행지도에는 사당골이라 하는데...
▽푹 패인 길에 깔린 돌이 거칠다.
▽돌길인지 물마른 계곡인지 아리송했는데, 그래서일까, 이정표가 자주 서 있고...
▽산행리본도 간간이 달려있다.
▽30여분 내려서자 백운동계곡을 만나고...
▽점전계곡으로 이어지는 포장길이 나온다.
▽포장길을 따라 가다가...
▽계곡에서 땀을 씻었다. 가뭄이지만 몸을 담글 만 했다.
'근교산 그너머 > 그너머·다~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매물도 /경남 통영 (0) | 2018.04.04 |
---|---|
도장산 /경북 문경 (0) | 2017.08.15 |
둔철산 / 경남 산청 (0) | 2016.09.26 |
덕유산 삿갓봉 /경남 거창 (0) | 2016.08.22 |
도봉산 /서울, 경기 (0) | 2016.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