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둔산(878m) /전북 완주
대둔산의 두 얼굴
□ 산행개요
○ 산 행 지 : 완주 대둔산(878m)
○ 산행일자 : 2007년 11월 17일(토) /맑은 날씨
○ 산 행 자 : 부산토요산악회와 함께
○ 산행코스 : 완주대둔산주차장-동심바위-금강구름다리-삼선계단-마천대-220계단-수락리주차장
○ 산행시간 : 4시간 31분
□ 산행일지
07:33 부산 서면 영광도서앞에서 출발(산악회 버스)
버스는 남해고속도로를 거쳐 대전·통영고속도로로 진입하고, 추부IC에서 나와 17번 도로를
타고 대둔산을 찾아간다.
10:33 완주 대둔산 주차장 도착
10:44 산행시작
10:46 산행로 진입도로 /이정표(해발 280m ,↑케이블카 220m)
10:52 탐방지원센터
10:54 케이블카 탑승장
10:58 동학농민혁명 대둔산 항쟁전적비
이정표(해발 330m, ↑마천대<정상> 1.55km /동심바위 800m, ↓주차장 350m)
전적비를 지나면서 금강계곡에 들어서게 된다. 돌계단을 오르면 가파른 돌길이 이어진다.
11:09 철계단
11:23 동심휴게소(해발 550m)
11:30 동심바위 안내문(50m 전방 동심바위)
11:33 동심바위앞 쉼터
11:35 금강문 입구 /금강문안내문과 이정표가 있다.
이정표((해발 610m, 정상까지 700m, 입구에서 1km 지점 /↑케이블카/용문굴 100m,
금강구름다리/삼선계단 400m, ↓동심정휴게소 150m)
하늘높이 솟은 두개의 암봉이 협곡을 만들고 두개의 암봉꼭대기를 연결하는 금강구름다리가
매달려 있다.
11:39 금강구름다리 아래 지점 /바로 머리 위로 구름다리가 지나는 모습을 보며 통과한다.
11:45 양방향 갈림길
이정표(해발 670m, 정상까지 550m, 입구에서 1.15km, →케이블카/금강구름다리 100m,
←약수정휴게소/삼선계단 150m) /케이블카 방향으로 진행
11:47 금강구름다리앞 갈림길
이정표(해발 690m, ↑금강구름다리/마천대<정상> 50m, ←케이블카/주차장 150m,
↓약수정휴게소/삼선계단 250m, ↓마천대<정상> 650m)
이곳에서부터 바로 앞의 금강구름다리까지 많은 사람들이 서너 줄로 늘어서서 지체가 된다.
11:55 금강구름다리 입구(임금바위)
금강구름다리는 높이 80m, 길이 50m, 폭 1m로 일방통행길. 1사람씩 줄을 지어 건넌다.
12:05 금강구름다리 건넘(입석대)
금강구름다리앞 갈림길에서 다리를 건너기까지 100m에 18분이 소요되었으니, 15분 정도가
지체된 셈이다.
12:07 이정표(해발 700m, 정상까지 650m, ↑약수정휴게소/삼선계단 50m, 일방통행)
철계단을 내려선 후 돌계단길로 오른다.
12:18 약수정 휴게소 /이정표(해발 740m, ↑삼선계단/마천대<정상> 50m, →마천대<정상> 400m)
삼선계단 역시 1사람씩 줄지어 건너는 일방통행길. 삼선휴게소에서부터 행렬이 늘어서 있다.
12:32 삼선계단 /길이 40m, 너비 0.5m의 127계단이 경사 50도 정도로 암봉을 연결하고 있다.
12:37 전망대 /바로 위로 마천대와 왼편 삼선바위가 바라 보인다.
12:50 4거리 갈림길
이정표(해발 840m, ←마천대<정상> 150m, →용문골 삼거리 450m, ↑낙조대/태고사 0.9km,
↓케이블카 500m/금강구름다리 500m)
12:54 정상앞 갈림길
이정표(해발 860m, ↑안심사 3.4km/옥계천 5.5km/220계단, ↓케이블카 650m/용문골삼거리
600m/낙조대)
12:56~59 마천대(대둔산 정상, 해발 878m)
완주시에서 세운 개척탑이 있다. 암봉으로 이어지는 능선과 대둔산주차장이 한눈에 보인다.
13:01~03 정상앞 갈림길 /이정표 220계단 방향으로 진행.
13:07 갈림길 /오른쪽으로 내려선다. 직진길은 허둥봉으로 가는 길 인듯.
13:09 이정표(↖220계단 1.5km, ↗220계단 1.4km, ↓마천대<정상> 0.2km)
220계단으로 가는 길이 두 갈래로 나뉘는데, 왼쪽길을 택한다.
13:10 계단시설 /119위치안내판(논산 20번 지점)
13:13~43 능선길옆 암반지대 /점심식사
14:01 119위치안내판(논산 17번 지점)
14:09 네갈래길
이정표(↑220계단<수락주차장> 0.45km, →석천암 0.55km, ←안심사<전북 완창> 2.75km,
↓마천대<정상> 1.245km)
14:20 220계단 /이정표(←주차장 2.1km, ↑마천대<정상>1.6km, ↓마천대<정상> 1.7km)
14:24 비선폭포
14:29 금강폭포
14:33 군지폭포 및 군지계곡 표지목 /가뭄이라 그런지 둘러보아도 폭포의 위치가 가늠되지 않는다.
14:35 수락폭포 /이정표(↑정류장 1.94km, →마천대 2.47km)
14:38 고깔바위
14:48 석천암 갈림길 /이정표(→석천암 0.5km, ↑정류장 1.48km, ↓수락폭포 0.42km)
14:51 선녀폭포
14:53~58 대둔산 승전탑
15:07 대둔산도립공원 자연생태연구소
이정표(주차장 0.30km, ←월성봉<흔들바위> 2.6km, ↓마천대 3.10km)
15:15 수락리 주차장 /산행종료
부근 음식점에서 닭도리탕과 하산주
16:33 부산으로 출발
21:03 부산 주례전철역 앞에서 정차, 이후 서면에서 하차 /각자 귀가
□ 산행후기
대둔산은 처음이지만 전혀 생소하지는 않다.
그간 신문지에 끼어오는 “찌라시”에서 가끔씩 보아 왔기 때문일 것이다.
해금강, 거제 외도, 보성 차밭 등과 함께 대둔산은 당일관광코스에 단골로 등장하는 곳으로서,
특히 가을이면 붉은 단풍을 두르고 있는 암봉과 높이 걸린 구름다리의 풍경사진은
버스관광업소의 광고지에 빠짐없이 올랐던 것이다.
해서, 경치 좋은 산이지만 유원지와 같은 곳으로 생각해 왔던 곳인데, 과연 그렇다.
제철이 지난 때라 사진에서 보았던, 붉게 타오르는 단풍의 향연은 볼 수가 없지만,
병풍처럼 늘어선 암봉들, 수석과 같은 기암괴석, 천길 단애에서 내려다보는 조망은 환상적이다.
반면에, 대둔산의 빼어난 산세가 속세의 물결에 훼손되고 있는 것 같아서 못내 아쉽다.
초입부터 정상에 이르기까지 곳곳에 매점이 들어서서 행락지 같은 분위기이고,
금강다리 입구까지 케이블카가 올라와서 많은 유산객들로 북적댄다.
대둔산(大屯山)의 둔(屯)은 “군대가 주둔한다”할 때의 둔자, 많은 사람들이 떼를 이룬다는 뜻이다.
그 이름이 언제부터 지어져서 불리어 왔는지 모르지만
오늘날과 같은 상황을 예견했던 것인지, 참으로 절묘(?)하다 하겠다.
▽산행개요도
▽대둔산주차장. 개척탑이 있는 마천대와 주변암봉들이 바라다 보인다.
▽도로를 따라...
▽탐방지원센터를 지나고...
▽동학혁명전적비를 지나치면...
▽금강계곡길이 시작된다.
▽철계단길과...
▽가파른 돌길을 오른다.
▽동심바위를 지나치면...
▽암봉위 금강구름다리가 걸린 금강문에 들어서게 된다.
▽하늘위 구름다리의 바로 아래를 지나치고...
▽금강문을 통과...
▽오른편으로 굽어돌아 금강구름다리 앞에 섰다.
▽기암위에는 낙락송이...
▽저멀리에는 출발지인 주차장과 그 주변이...
▽발아래에는 지나온 금강문이 내려다 보인다.
▽구름다리를 건너면...
▽내림길. 철계단을 내려선다.
▽약수정휴게소에 올라서서...
▽이번엔 삼선계단을 오른다.
▽에고...웬 강풍이...
▽마천대를 배경으로 한 컷. 고소공포증 탈출증명을 남기고...
▽다시 돌계단길을 오르면...
▽대둔산 정상. 개척탑이 서 있는 마천대다.
▽금강구름다리와 삼선계단으로 이어지는 암릉길을 바라보고...
▽이제는 하산길...
▽220계단을 향하여...
▽돌길을 따라 내려간다.
▽220계단을 내려서니...
▽바로 비선폭포. 수량이 적어 아쉽다.
▽깍아지른 협곡사이 길은...
▽태고적 신비가 서린 듯 하다.
▽수락폭포를 지나면서 계곡은 끝나고...
▽대둔산승전탑 입구. 화사한 단풍은 선열들의 피빛일까...